교육행정경영학과

원격대학원의 교육행정경영학과를 소개합니다.

교육행정경영학과

교육행정경영학과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교장론 (Principalship)

각국의 교장제도를 비교하고, 우리나라 실정법을 중심으로 교장의 역할과 지도성을 연구한다.

교육조직관리론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Governance)

교육 조직 관리에 대한 개념과 원리를 고찰하고, 교육조직의 성격에 따른 관리 방법을 규명하며, 조직의 구조를 파악하고 중앙교육행정조직과 지방교육행정조직, 단위학교 조직관리의 발전방안에 관하여 탐구한다.

학교학급경영론 (Seminar in School and Class Management)

학교 및 학급경영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법들을 습득한다. Case Study로써 학교장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대두되는 학교경영상의 과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교육인사행정론 (Personal Administration in Education)

인사행정의 개념, 성격, 기능, 원칙을 탐구하고 우리나라와 외국의 교원인사제도(양성, 자격, 임용, 승진, 보수규정 등)를 탐구한다.

교육법규론 (Educational Law)

법치행정을 기본으로 하는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합리적인 법 인식을 위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이해하고, 교육행정과 학교경영을 해 나아가는 데 있어서 알아야 할 법규적 지식들을 국내외의 판례와 함께 고찰함으로써 교육법규에 대하여 체계적 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생활지도와 학교폭력연구 (Case Study on Guidance and School Violence)

생활지도와 학교폭력 이론과 실제를 이해하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실천 전략으로서 생활지도 지식과 기법들을 습득한다. 또한 학교폭력의 유형과 사례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생활지도 방안을 모색한다.

교육조직진단 및 컨설팅 (Diagnosis and Consulting on Educational Organization)

내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교육조직의 실질적인 변화와 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조직진단의 이론과 기법, 진단도구 등과 교육조직 개선을 위한 컨설팅 이론과 기법 등을 탐구한다.

교육정책론 (Seminar on Educational Policy)

교육정책의 개념, 유형, 과정, 참여자 등 교육정책 전반을 개념적·이론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교육정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평가할 수 있는 이론 및 방법론을 탐색한다.

교육자치론 (Seminar in Educational Autonomy)

교육자치제도에 대한 이론과 그 운영에 대한 실제 현상을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교육제도론 (Educational Structure and System)

교육행정 학도와 행정가들의 교육제도에 관한 이해를 위해 교육제도의 이념과 성격, 학교교육제도, 학생선발제도, 교원인사제도, 교육행정제도 등에 관해 배운다.

교육재정론 (Educational Finance)

교육재정의 본질과 재정운영 원리를 이해하고 교육재정제도의 발달, 교육예산 편성기법, 집행, 결산 그리고 재정제도의 새로운 동향과 관리방법 등을 탐구한다.

교육정책사례연구 (Case Study on Education Policy)

정책과정과 교육정책과정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연구방법을 학습하고, 이를 연구에 적용한 정책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교육정책 연구역량을 신장한다.

교육정책분석연구 (Study on the Analysis of Education Policy)

교육정책의 성격, 분류, 결정 과정, 참여, 평가, 그리고 분석 기법 등 교육정책의 체계적인 분석을 탐구하고, 실제 교육정책 분석 사례를 바탕으로 실제에 적용하는 역량을 신장한다.

교육리더십론 (Educational Leadership)

교육분야의 리더십에 관련된 다양한 선행 연구들을 탐색하고 미래사회에 필요한 리더십을 갖추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도자의 덕목과 자질 개발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떻게 구현해야 할 것인가를 리더십 이론 및 관련 문헌, 실제 사례들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교육정치론 (Seminar in Educational Politics)

현실의 정치체제와 교육체제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정치 과정과 그 결과로서의 교육정책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바람직한 교육정치를 연구한다.

교육변화연구(Stduy on Educational Change)

한국의 교육문제, 학교문제를 분석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여, 올바른 교육 변화 방안을 모색한다. 올바른 교육 변화, 교육발전 방안으로서 종합적인 교육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문제 분석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비판적 사고 역량을 신장한다.

미래사회와 교육(Teaching and Human Relationship)

미래사회의 변화 속에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 미래 교육지도자들에게 요구되는 바람직한 역할을 탐색한다.

교직과 인간관계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교직사회의 특성에 맞는 인간관계 개선방안에 관한 이론을 탐구하고 인간관계를 실제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개발하고 체득하게 한다.

교육행정의 이론와 실제(Introduction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교육행정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현재와 미래의 교사, 교육행정가, 교육전문직 등을 위한 입문과목으로서 교육조직 및 학교운영에 관련된 이론과 실제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의 폭을 넓힌다.

교육행정연구법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교육행정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주요 연구 논리들을 학습하고, 교육행정연구의 기본 철학과 절차, 방법론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교육행정 현상과 교육행정연구 논문을 이해할 수 있는 소양과 능력을 배양한다.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1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1)

학위논문 작성 준비자를 대상으로 연구윤리에 관해 고민하고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실행 가치 등을 점검함으로써 성실한 연구자세 및 효과적인 보고서(학위논문)작성 능력을 기른다.

연구윤리및논문작성지도2 (Research Ethics and Directed Research2)

기제출된 학위논문계획서 및 예비연구를 재검토하여 연구윤리를 확보하고, 선행연구 모니터링 및 효과적 연구설계를 통해 전반적 연구과정을 직접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인 연구완성에 조력한다.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닫기

사이트맵

대학원 소개
입학안내
학위과정
학사정보
학습가이드
학생서비스
나의강의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