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비즈니스융합학과 Department of Beauty Business Convergence
소셜네트워크서비스방법론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ology)
소셜네트워크 구축과 운영을 위한 방법론과 플랫폼 실무를 통해서 브랜드 가치와 상품을 홍보하고 관리하는 실무능력을 배양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SNS 서비스 방법을 분석한다.
뷰티심리학 (Beauty Psychology)
뷰티 관련 분야를 통한 외모의 사회적 및 심리적 영향을 이해하고 뷰티 심리학을 탐색하고 연구한다.
뷰티매니지먼트 (Beauty Management)
뷰티살롱 관리 능력 고취를 위한 방법론을 탐색한다.
뷰티창업컨설팅 (Beauty startup Consulting)
뷰티산업의 창업에 관한 실무를 이해하고 정보 습득을 통한 창업컨설팅의 전략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연구한다.
메이크업트렌드 분석 (Makeup Trends Analysis)
메이크업의 트렌드가 문화와 연계하여 어떤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고 분석한다.
캐릭터연구 (Character Research)
메이크업의 목적에 있어 기초자료가 되는 캐릭터를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여 응용과 창의적 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게 한다.
핼쓰케어 (Health care)
건강과 웰빙을 중심으로 한 이론을 통해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론 탐색
뷰티관광산업연구 (Beauty Tourism Industry Research)
뷰티산업 발전의 동기가 되는 인간의 내면적 욕구에 대해 이해하고, 체험형 소비상품으로서의 뷰티상품을 바탕으로 상품의 구성 요소(뷰티, 호텔, 의료 등)가 결합된 여가형 산업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조명하고 미래 뷰티산업과 관광산업의 융합방안을 탐구한다.
뷰티투어기획론 (Beauty Tour Development)
뷰티투어 상품 특성을 이해하고 뷰티상품 개발을 위한 상품의 구성방법, 상품의 출시과 유통, 고객상담과 관리 등의 전략적 방안을 우리나라 인바운드 여행시장의 현실을 토대로 뷰티트렌드 변화에 입각하여 고찰한다.
뷰티테라피연구 (Beauty Therapy Research)
인간의 미용과 건강을 위한 컬러테라피, 아로마테라피, 허브테라피, 스톤테라피 등 다양한 종류의 테라피에 대하여 탐색하고 연구한다.
화장품학특론 (Advanced Cosmetology)
화장품법 및 화장품 산업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고 기능성화장품 등의 발전으로 맞춤형 화장품의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뷰티문화콘텐츠연구 (Beauty Cultural Content Research)
뷰티 문화에 기초한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뷰티 컨텐츠에 관한 방법을 탐색하고 연구한다.
뷰티브랜드전략분석 (Beauty Brand Strategy Analysis)
뷰티 관련 산업체의 운영방법을 파악하고 경영전략을 분석함으로써 창업의 기반을 마련한다.
웨딩기획(Wedding Planner)
웨딩 관련 상품을 세부적으로 컨설팅하고 상담하는 교육과정에서 그 바탕이 될 수 있는 웨딩플레너의 역할 및 자질과 책임 등을 이해하고 웨딩 플래닝에 대하여 탐색하고 연구한다.
헤어디자인연구 (Hair Design Research)
뷰헤어에 대한 디자인적 요소를 연구하고, 살롱헤어의 이해와 방법을 모색하여 연구한다.
교방문화론 (Gyobang cultural theory)
전통 한국문화에서 궁중 및 관아의 여성들과 관련된 생활, 예술, 문화적 전통을 연구한다.
서비스마케팅(Service Marketing)
고객만족 경영에 대한 지속 가능형 고객 만족 경영 체계화 전략을 수립하고, 서비스 마케팅 관리자로서 서비스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법들을 이해한다.
모발과학 및 두피(Science of Hair and Scalp)
두피와 모발의 생리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 등을 이해하고 모발과 두피 관련 내용을 탐색하고 연구한다.
메디컬스킨케어 (Advanced Skin Anti-aging)
피부미용학적 접근방법을 모색하여 노화에 의한 피부조직 및 기능의 변화를 탐색하고 피부노화에 따른 메디컬스킨케어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지도(Research Ethics and Thesis Writing Guidance)
연구윤리 및 논문 작성하는 방법과 논제를 연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논문의 구성에 대해 탐색하고 연구한다.